구분 | 주요 관계사 |
---|---|
운영 관련 | - 관리운영사 : 해당 회사만 가지고 있는 운영 노하우, 성과, 책임 범위가 있어 교체 시 프로젝트가 변경됨 |
<aside> <img src="/icons/checkmark-square_blue.svg" alt="/icons/checkmark-square_blue.svg" width="40px" />
Step 1: 자산을 직접 소유하고 있는 주체(Fund, Reits, SPC 등)를 가운데(5번)에 배치
</aside>
<aside> <img src="/icons/checkmark-square_blue.svg" alt="/icons/checkmark-square_blue.svg" width="40px" />
Step 2: 나머지 칸에 주요 관계사를 배치하고, 화살표로 관계를 연결
주체인 5번을 제외한 나머지 위치는 설명에 용이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가능
구조도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관계를 언급하는 수준으로만 기재
배치 예시)
주요 관계사 설명:
부동산/리츠 2022년 오피스 시장 전망 (2022.02.16, 삼성증권)
투자구조로 이해하는 프로젝트
사업주체: 코크렙티피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투자자(주주), 대주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주체 (투자를 유치하는 주체)
투자대상: 사학연금 토지에 삼성물산이 시공사로 참여하여 공사를 진행한다
→ 시공사: 건물을 짓는 건설사를 의미함. 따라서 이 사업은 건설을 통해 건물을 짓는 프로젝트임
→ 토지: 건물을 지을 때 이용할 토지를 직접 사는 경우가 많은데, 이 건물은 임대를 하는 방식임
자금조달: 주주(사학연금, 코람코)가 대주(국민은행, 농협생명)를 통해 PF 대출을 일으켜 사업을 진행한다
→ 주주: 코크렙티피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주주를 의미 (프로젝트의 주인)
→ 대주: 타인자본으로 자금을 빌려주는 주체를 의미
자산관리사: 사업주체는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로 자산관리회사인 코람코가 주요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는 의사결정주체인 자산관리회사가 반드시 필요
해설
이지스리테일부동산투자신탁287호